top of page

Press

KBS NEWS 9   l   2018. 6. 28.

MBC 문화사색, Art Story   l   2019. 5. 16.

ARIRANG TV_Arts Avenue  ㅣ 2016. 11. 3.

Happy Design House  ㅣ  2018. 7.

Critics

KNOU Weekly

​김동규 연세대 강사/ 예술철학 

스크린샷 2021-05-17 오후 11.55.15.png
555559BE0F4D-A3F5-4BE7-8574-901C7911B356

Readymade sensitivity, this is a modern sense of art risen from the 20th century. Then, what will be the aesthetic tendency that characterizes the 21st century? Just as the preceding case, the changed ‘environment’ will be the clue to answer. If so, what is the environmental change that has a profound influence on life after 21st century? Where is the place we live except time for sleeping? Yes. It is the digital media. Also, in my case, I have spent most of my life in computer-built virtual reality since the 2000s. I read e-books, search for papers and write on computer. I shoot videos for flipped learning class, and even in offline class, I learn in PowerPoint. There is nothing to really explain that I always have been connected to smartphone for 10 years. This is same for artists. They also have no choice but to work in digital environment.

For instance, photographer Kang Young-kil, who draws attentio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firstly takes pictures. Then he transforms the image with computer Photoshop. He can freely handle various colors and strokes of brush, such as oil painting, watercolor painting, acrylic painting, pastel painting and ink0and-wash painting. This is possible because it is all rooted in digital media. His work <Us-who seek for hand> features a person staring at one hand while strapping on backpack. The background is erases just like the out-focusing photography, so the focus is naturally on person. To be specific, the background is set in the shape of a small white rectangles stood densely in different angles. In fact, person is also made up of rectangular pieces, with only different colors. It is like a three-dimensional Lego remnant.

The person in the work is a self-portrait of a modern people wandering with a backpack. The dark blue skin creates a gloomy and lonely atmosphere. It is like neon sign lighting up the city center dimly. What is he looking at while walking busily? It is difficult to say for sure due to its crummy form, but the eyes are on the hand. Maybe, he is looking at smartphone just as easily seen on the street. The title of the work says, that it is figure of ‘Us’ living the modern times. It is the one who will see his hand one day, not the smartphone. There is no idea what he did for wrong, he is the one who needs to receive hand (It reminds the man with head down, carrying backpack which was reported boisterously in the media).

…..

Digital is the best medium to technically maximize the artistic imagination. Even it seems that it can build artistic imagination in the reality, eventually erasing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art. To an extent incomparable to what readymade in the 20th century had done. However, if the whole life becomes art, the unique meaning of art (one of which is wonder and admiration of life, exclaiming ‘This is art!’) will inevitably fade. Besides, life cannot withstand dematerialization. The moment life is reverted to various digital information including genetic information, the source of meaning of Lebenswelt will be exhausted. As the movie <Matrix> shows well, isn’t the comfort life locked in virtual reality a lonely and miserable life? Like this, when life becomes impoverished, art will experience desertification eventually. Then, how will we deal with the world which is transformed to digital? The 21st century artists and aestheticians will be troubled by this problem.

No one can avoid digital in 21st century. No doubt new sensibilities, colorful aesthetics will bloom in the digital world. It remains to be seen if it is a rose or a poisonous mushroom. It is a relief that some progressive photographers like Kang Young-kil are exuding a trustworthy digital sensibility.

레디메이드적 감성, 이것은 20세기에 발원한 예술의 현대적 감각이다. 그렇다면 21세기를 특징짓는 미학적 동향은 무어라 말할 수 있을까? 앞선 경우처럼 변화된 ‘환경’이 답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21세기 이후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환경변화는 무엇일까? 잠자는 시간 빼고 우리가 생활하는 곳은? 그렇다. 디지털 매체 속이다. 필자만 하더라도, 2000년대 이후 컴퓨터가 구현하는 가상현실에서 생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다. 컴퓨터에서 전자책을 읽고 논문을 검색하고 글을 쓴다. 플립트러닝 수업을 위해 동영상을 찍고, 오프라인 수업에서조차 파워포인트로 수업을 한다. 10년 전부터 스마트폰을 몸에 접속하며 지내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이건 예술가도 마찬가지다. 그 역시 디지털 환경에서 작업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작가 강영길은 맨 먼저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컴퓨터 포토샵으로 이미지를 변형시킨다. 유화, 수채화, 아크릴화, 파스텔화, 수묵화 등 다양한 색조와 필치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이건 모두 디지털 매체에 뿌리내리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의 작품 <Us-손 볼 사람>에는 배낭을 메고 한 손을 응시하는 사람이 등장한다. 아웃포커싱 사진기법처럼 배경은 지워져서 초점은 자연히 인물에 맞춰져 있다. 정확히는 작고 하얀 직육면체를 빼곡히 각도를 달리하여 세워둔 모양새로 배경을 설정했다. 실상 인물도 색깔만 다를 뿐 직육면체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체감 있는 레고 집적물 같다.

작품 속 인물은 배낭을 짊어지고 유랑하는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검푸른 살갗은 침울하고 고독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도심을 침침하게 밝히는 네온사인 같다. 바삐 걸으면서 그는 무엇을 보고 있는 것일까? 형태가 선명치 않아 확언하기는 어렵지만, 시선은 손을 향하고 있다.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지도 모른다. 작품의 제목은 말한다. 그는 현대를 사는 우리(Us) 모습이라고. 스마트폰이 아니라 언젠가 자기 손을 보게 될 사람이라고. 아니 무슨 잘못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꼭 손 봐 줘야 할 사람이라고(최근 언론이 떠들썩하게 보도했던 배낭 멘 고개 숙인 남자도 연상된다).

 

…..

 

디지털은 예술적 가상을 기술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매체다. 심지어 그것은 현실 속에서 예술적 가상을 구현하여, 결국 삶과 예술의 경계를 지울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20세기 레디메이드가 했던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말이다. 그러나 삶의 전부가 예술이 된다면, 예술의 고유한 의미(그중 하나가‘이건 예술인데!’라는 생의 경탄과 찬미다)는 퇴색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삶은 탈물질화를 견뎌내지 못한다. 생(life)이 유전정보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로 환원되는 순간, 생활세계(Lebenswelt)의 의미 원천이 고갈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 <매트릭스>가 잘 보여주듯, 가상현실에 갇힌 안락한 삶이 외려 비참하지 않던가? 이처럼 삶이 피폐해지면, 종국에는 예술도 사막화된다. 그렇다면 디지털로 변모되는 세상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1세기 예술가와 미학자들은 이 문제로 골머리를 썩일 것이다.

21세기엔 누구도 디지털을 외면할 수 없다. 틀림없이 디지털 세계에서 새로운 감성, 화려한 미학이 피어날 것이다. 그것이 장미꽃인지 독버섯인지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다. 강영길 같은 몇몇 진취적인 작가들이 미더운 디지털 감성을 발산하고 있기에 그나마 안심이 된다.

Culture Catch

Mary Hrbaek​

스크린샷 2021-05-17 오후 11.59.00.png

Huffpost

D.Dominick Lombardi

bottom of page